티스토리 뷰
목차
24세 청년이라면 지금 바로 신청 가능한 '청년기본소득'을 알고 계셨나요?
지금 이 글을 놓치면 연 100만원을 받을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.
경기도 거주 청년이라면 반드시 확인해보세요!
청년기본소득이란?
청년기본소득은 경기도에 거주 중인 24세 청년에게 분기별 25만원씩, 연 최대 100만원을 지급하는 경기도형 기본소득 제도입니다.
청년의 행복추구권, 삶의 질 향상, 사회참여 기회 보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지원대상 및 신청 조건
지원 대상은 신청일 기준 만 24세이며, 주민등록상 경기도 거주자로서 3년 이상 계속 거주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한 청년입니다.
다만, 성남시와 고양시의 경우 조례 폐지 및 예산 미편성으로 인해 2025년부터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지급 금액 및 방법
분기별 25만원씩, 연 최대 100만원이 시·군 지역화폐로 지급됩니다.
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, 일시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으며, 제출서류로 수급자 증명서가 필요합니다.
지급된 지역화폐는 일반적으로 유효기간이 3년이며, 일부 지역(시흥, 군포, 과천)은 5년입니다.
2025년 지급일정 한눈에 보기
분기 | 연령 기준일 | 대상자 생년월일 | 신청기간 | 심사/선정 | 지급일 |
1분기 | 25.01.01 | 2000.01.02 ~ 2000.12.31 | 25.03.01 ~ 03.31 | 25.03.05 ~ 04.10 | 04.20 |
2분기 | 25.04.01 | 2000.04.02 ~ 2000.12.31 | 25.05.01 ~ 05.30 | 25.05.07 ~ 06.10 | 06.20 |
3분기 | 25.07.01 | 2000.07.02 ~ 2001.07.01 | 25.07.01 ~ 08.11 | 25.07.04 ~ 08.29 | 09.10 |
4분기 | 25.10.01 | 2000.10.02 ~ 2001.10.01 | 25.10.15 ~ 11.24 | 25.10.20 ~ 12.10 | 12.20 |
신청방법과 제출서류
청년기본소득은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며, 신청 사이트는 ‘잡아바’ 포털(http://apply.jobaba.net)입니다.
신청기간은 분기별로 상이하며, 매 회차 오전 9시부터 마지막 날 오후 6시까지 접수됩니다.
제출서류는 주민등록초본과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(해당자에 한함)입니다.
결론 및 행동 촉구
청년기본소득은 단순한 지원금을 넘어, 청년의 자립과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.
대상에 해당된다면 신청을 미루지 말고 바로 지금 챙기세요.
분기별 일정에 맞춰 준비하고, 신청 누락 없이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!
Q&A
Q1. 현재 고양시에 거주 중인데 신청 가능한가요?
2025년부터 고양시는 예산 미편성으로 인해 청년기본소득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Q2. 사용하지 않은 지역화폐는 어떻게 되나요?
일반적으로 3년의 유효기간이 있으며, 시흥·군포·과천은 5년입니다. 유효기간 내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됩니다.
Q3. 온라인에서도 지역화폐 사용이 가능한가요?
온라인 사용은 지역화폐 결제 수단이 연동된 특정 가맹점에서만 가능합니다. 관련 정보는 9월 10일 이후 공지됩니다.
Q4. 지역화폐는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요?
주소지 시·군 내 지역화폐 가맹점에서 대부분 사용 가능하며, 학원수강료나 시험응시료는 도내 및 일부 온라인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
Q5. 심사에 떨어질 수도 있나요?
기본 요건을 충족하지 않거나, 제출 서류가 미비하면 심사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. 정확한 서류 제출이 중요합니다.